삼성 컬러 레이저프린터가 인쇄가 안된다

CLP-320처럼 액정화면이 없는 프린터는 오류가 표시되도 어떤 문제인지 알 수가 없다

이런 프린터들은 일단 컴퓨터에 연결해서 드라이버 및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정확한 오류원인을 알수 있다

 

삼성 CLP-320K 인쇄 불가(오류)

아래 화면처럼 드라이버 및 상태정보 프로그램이 설치되니까 현재 프린터 상태를 알려준다

 

아래 화면처럼 오류의 원인이 표시된다

Replace / Install Toner Waste Tank.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토너가루는 받아내는 통이 있는데 이걸 Toner Waste Tank라고 하는데

이 통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거나, 토너가루가 넘쳐서 비워달라는 메시지이다

 

아래 화면처럼 삼성 CLP-320K 프린터는 토너 좌측에 토너통이 위치하고 있다

 

 

토너 통을 빼면 빠진다

 

저 토너통을 휴지통에 비운다. 참고로 Toner Waste Tank를 장착하면 적외선 등의 빛을 이용해서 토너통에 토너가루가 가득찼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토너 가루를 다 비웠더라도, 통이 지저분하면 토너통이 가득찬것으로 인식될수 있다

따라서 토너통을 비운후 깨끗히 물 등으로 청소를 하는것이 좋다

 

아래 사진에 손가락으로 가르키고 있는곳이 토너통 상태를 확인하는 센서부분이다

 

반응형

직장에서도 화장실이 막혀서 고생중인데, 집에 화장실 변기도 막히는 사태가....... ㅠㅠ

요즘 정말 떵 때문에 너무 힘들다

변기가 막혔을 경우 왜 막혔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칫솔이나 기타 물건이 들어가서 막힌거라면 꺼내야 하고, 변비 또는 과다한 화장지 사용등으로 막힌거라면 밀어내면 된다

아이들에게 확인해보니 어떤 물건을 떨구지는 않았다고 하고, 초등학생인 큰 딸이 화장실에서 볼일을 봤는데, 저기가 생각해도 너무 떵이 커서 놀랬단다

1. 화장실 변기 청소 솔

변기 청소하는 솔로 열심히 왕복운동을 하면 대부분 뚫리는데, 이번에는 실패

2. 펑크린 붓기

결과적으로 실패, 개인적으로 펑크린 같은거는 별 혀과가 없다고 생각한다

3. 페트(PET) 병 이용하기

처음 해봤는데, 효과는 상당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우리집에는 역시 실패

4. 랩, 비닐, 등등등

다 실패~

5. 관통기 => 강추!!!!!

가까운 철물점 가서 관통기 달라고 하면 1만원도 안한다 이게 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어서 변기 관로를 정확히 물리적으로 뚫기 때문에 가장 확실하고, 가장 저렴하다! 아래 사진 참고

 

 

 

아래 사진처럼, 스프링 부분을 변기에 살살 밀어넣눈다. 스프링 전체가 다 들어가면 좋다

 

 

 

 

아래사진 처럼 스프링이 다 들어가고 플라스틱 손잡이만 보일정도에서, 핸들의 스프링 손잡이를 빙빙 돌리면 바로 뚫린다

사실 스프링 밀어 넣는것만으로도 다 뚫린거나 마찬가지다

 

 

 

괜히 펑크린 사고, 별짓을 다한 시간과 비용을 생각해보면, 관통기 하나 사는게 훨씬 경제적이다

인터넷에 보면 좀 비싸게 파는것 같던데, 가까운 철물점에서 사는게 가장 나을것 같다

역시 이번에도 완도에서 제일 친절하다는 "완도철물"에서 구매했다 ^^

반응형

반응형

USB Device Over Current Status Detected !!

 

데스크탑 컴퓨터를 켜면 아래와 화면과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오면서 시스템이 재시작된다.

==============================

USB Device Over Current Status Detected !!

System Will Shut Down After 15 Seconds.

==============================

이 문제의 원인은 아래 사진을 봐보자

USB포트 2개중 아래쪽 포트가 좀 이상하다.... USB포트의 경우 4핀(pin)을 사용하는데, 누군가가 USB포트를 거꾸로 꽂ㄱ거나 해서 핀들이 쇼트 나서 전류가 초과해서 흐르는 문제이다.

 

 

 

 

저 USB포트의 핀들을 핀셋등으로 쇼트나지 않게 다시 펴주어야 하며,

만약 급한경우 메인보드에서 해당 USB포트를 제거해서 임시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는 있다.

반응형

KT파워텔에서 서비스 하던 TRS가 요즘에는 LTE무전기 형태로 사용된다.

TRS는 TRS기지국을 통해서 별도 주파수를 이용했었기 때문에 기지국 유지보수 등 비용이 많이 들었고,

장비의 대부분의 모토로라 제품이었는데, 모토로라가 철수하면서 TRS는 더이상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따라서, LTE망을 이용해서 무전기 서비스를 하게 되었는데, LTE단말기에 무전기 앱을 설치한 형태?

물론 하드웨어 자체도 스피커 출력을 좀 세게 한다던지, PTT버튼을 별도로 만든다든지 하는 변화가 있긴 하지만 결국 스마트폰에 무전기 앱을 설치한 형태일뿐......

암튼~ LTE무전기의 대표적인 모델이 라저1, 라저2 이렇게 있는데

서비스 모드 진입방법

*#2366# -> Service Mode -> 엔터

RSRP 숫자가 낮을수록(마이너스 생각하지 말고 숫자 자체만) 좋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