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에서 새롭게 출시한 DJI Trandmission(트랜스미션).

비디오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해주는 장비이다.

드론에서 이용하던 비디오 전송 기술을 별도로 빼내서 만든장치인데,

전송거리가 6~7km나 되고, 지연율이 100ms 이하로 매우 빠르다.

가격은 송수신기 세트로 약 350만원

전송거리 6~7km는 장애물과 전파간섭이 없을때 상황이고, 실제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서는 어느정도 거리까지 전송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한번 해보았다.

DJI Transmission 하드케이스 및 내용물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좌측) / 수신기(우측)

 

 

오동도가 보이는 산등성이에 DJI Transmission 송신기를 설치했다. TV셋탑(YTN채널)의 HDMI케이블을 송신기에 HDMI입력단자에 꽂고,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전송을 시작한다.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에 HDMI영상 연결 후 송신 화면

 

아래 화면은 송신된 영상이 수신기에 나타난 모습. 송수신기 거리가 2m정도, 당연히 잘 나온다.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에서 전송된 화면이 수신기에 나타난 모습

 

송신기로부터 약 1.6km 떨어진 여수시 소노캄에서 영상을 수신한 모습

아무래도 건물들이 많은데다, 주위 무선장비들이 많이 있다보니 전송속도가 3Mbps까지 떨어지만,

주파수 채널별 수신강도는 괜찮았다.

시내권에서 DJI Transmission 전송거리 약 1.6km 거리에서도 원활했다.

 

여수시 오동도 근처 소노캄 앞에서 수신강도 화면

 

 

소노캄 앞에서 수신된 영상... 안테나가 3칸정도 나타나고, 전송속도는 3.2Mbps

소노캄(구 엠블호텔)에서 DJI Transmission 영상 수신 화면

 

수신기를 높이 들면 속도가 잘 나오고, 높이가 낮아지면 아래 사진처럼 안테나 3칸, 전송속도는 1.4Mbps로 떨어진다. 화면이 조금 끊기기도 했다.

소노캄(구 엠블호텔)에서 수신 화면 (안테나 채널별 수신강도 모습)

 

이 장비를 바다에서 사용할 예정인데, 장애물이 없는 바다에서는 아무래도 6~7km 정도의 전송거리가 나올듯 싶다. 바다에서 다시 한번 테스트할 예정이고, 특히 DJI Transmission 장비를 2대를 연결해서 12~14km까지 전송이 가능한지도 테스트해 볼 예정이다.

아! 참고사항..... 송신기에는 HDMI 입력포트가 있고, 수신기(모니터)에도 HDMI 입력포트만 있다.

무슨 말이냐면... 송신기는 HDMI영상을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영상을 모니터에 나타내지만, 수신된 영상을 HDMI로 출력할수는 없다!

(수신된 영상을 HDMI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 옵션카드(50만원 상당)를 추가장착해야한다.)

그럼 수신기에 HDMI포트는 무슨용도???? 말그대로 수신기가 모니터 역할을 하다보니, 이역시도 HDMI 케이블을 꽂아서 영상을 보여주는 목적이다. 즉 HDMI입력포트이다.

 

반응형

중국 TouYinger社 H5 프로젝터의 펌웨어를 잘못 업그레이드 해서 벽돌(작동안하는) 문제에 대한 문의가 있었다.
저가의 프로젝터 이지만, 펌웨어를 업그레이드를 하면 성능이 좋아진다는 블로그 글을 보고 시도를 했다가,
낭패를 본 경우인데......펌웨어가 제대로 업그레이드 되지 않으면,
프로젝터 전원을 켰을때 팬(FAN) 소음은 나지만, 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며,
렌즈 안을 들여다보면 "밤하늘의 별들"의 모습만 나타나고 더이상 그 어떤 작동도 하지 않게 된다.

반응형




★ 해당 프로젝터의 펌웨어를 수동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으나 그중의 한가지 방법을 소개하는 것으로,
본 게시물의 방법대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포기하지 마시고, 문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TouYinger社 H5 LED 프로젝터


해결 방법은 첨부파일의 펌웨어를 다시 입력해주면 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USB 메모리를 준비한다. (USB메모리는 FAT32형태여야 한다.)
※ FAT32 형태라는 말은 USB메모리를 포맷할 때 파일시스템으로 FAT32를 설정 후 포맷한다.

2. 아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후 USB메모리에 복사한다.
※ V509YZ.bin 파일이 USB메모리의 루트폴더에 존재해야 한다.

3. 프로젝터의 전원 케이블을 분리한다.

4. USB메모리를 프로젝터에 꽂는다. (USB포트 위치는 상관없다.)

5. 전원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케이블을 연결한다.

6. 전원버튼 위에 위치한 빨간색 LED표시등이 깜박거리면, 파워버튼에서 손을 뗀다.
※ LED표시등이 깜박거리는 것은 Y509YZ.bin 펌웨어로 다시 업로드 되고 있다는 표시이다.

7. 잠시 후 프로젝터가 껐다 켜지면서 아래 사진처럼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정상 작동하는 모습


V509YZ.bin
3.09MB
반응형

집에서 사용하는 다이슨 청소기가 드디어..... 작동을 하지 않는다.

배터리팩의 스위치를 눌러보면 빨간불만 깜박깜박...

배터리를 교환할 때가 다가오면 전조증상이 있다. 청소기의 흡입력을 최대로 해서 사용을 했을때

작동을 하다가 갑자기 멈춰버리는 증상이다.

다시 충전을 해서 약하게 또는 중간정도 흡입력으로 사용을 하면 가능은 하지만...

이 역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나 처럼) 완전 작동을 멈춘다.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데,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배터리팩 교환: 가장 간단하고, 쉽다.

2. 배터리셀 교환: 가장 복잡하고, 어렵고, 가장 저렴하다.

반응형

 

일단 배터리 팩 교환 하는 방법이다. 구매해서 그냥 교체만 하면되는데

구입하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정품 가격은 사악하다.... 내 모델의 경우 SV12모델인데 V10과 호환이 된다고 하는데

  1. 국내판매 정품 => 비싸다 / 10만원 넘는다.
  2. 국내판매 호환품 => 중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수입해서 파는데 중국보다는 당연히 조금 비싸다 / 75,000원
  3. 중국(알리익스프레스) => 제일 저렴하다. / 53,000원

가장 저렴하면서 확실하게 교환하는 3번 방법으로 진행을 한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배터리 팩을 구입하려면 아래 판매자가 친절하고, 신속하고, 정확하다.

알리익스프레스의 신뢰할 수 있는 [다이슨 배터리 판매자]

 

 

다이슨의 경우 청소기 모델이 많기 때문에, 그리고 해외구매이기 때문에 판매자에게 해당 배터리가 정확히 내 청소기에 사용가능한지 문의를 하는 것이 좋다.

아래 사진처럼 배터리 라벨 사진을 찍어서 판매자에게 문의 후 주문을 했다.

배터리 구매전 판매자에게 문의

 

 

주문시 주의점은 결재 후 판매자가 개인통관부호와 이름을 물어보는데, 이걸 빨리 답을 해야 바로 발송이 가능하다.

2022년 9월 19일에 주문해서, 9월 30일경 도착했다.

가격은 $37.98 (약 53,000원)

더 저렴하게 구매를 하려면 바이두 같은 곳에서 구매 후 배대지 이용하면 조금 더 저렴하기는 하지만.....

알리가 조금 더 비싸긴 해도 여러모로 편리하다.

배터리가 도착하면 아래 사진처럼 손잡이 부분 나사를 푼다.

다이슨 청소기(SV12 / V10) 배터리 교환

 

아래 사진은 손잡이 부분 나사를 푸는 모습

다이슨 청소기(SV12 / V10) 배터리 교환

 

배터리 하단에 보면 나사가 2개 더 있다.

아래 사진처럼 나사 2개를 푼다.

다이슨 청소기(SV12 / V10) 배터리 교환 / 하단 나사 2개 풀기

 

총 나사 3개를 풀고 난 후 배터리 팩을 잡고 아래로 당기면 아래 사진처럼 청소기 본체와 분리가 된다.

다이슨 청소기(SV12 / V10) 배터리 교환 / 본체와 분리 모습

 

아래 사진 중 왼쪽 배터리는 수명을 다한 배터리, 오른쪽은 중국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입한 호환 배터리

정품이나 호환이나 아무 상관 없다.

왼쪽 배터리는 정품이지만, 25.2V 2,300mAh 용량이고,

오른 배터리는 호환품이지만, 25.2V 에 4,500mAh 용량이다.

※ 배터리 셀 개수는 7개로 동일하지만, 용량을 2,300mAh짜리를 쓰느냐 4,500mAh를 쓰느냐의 차이인데...

중국산 호환제품이 4,500mAh라는 것은 거짓일 확률이 매우 높다.

왜냐면 보통 18650 배터리가 대용량이 3,500mAh인데.. 4,500mAh는 내가 아직 보질 못했다.

검색을 해봐도 나오질 않는데...... 암튼! 뜯어보면 알겠지만.... 용량이 크다면 3,500mAh 정도일 것으로

추측한다.

다이슨 정품배터리(좌측: 25.2V 2,300mAh) / 다이슨 호환배터리(우측: 25.2V 4,500mAh)

 

다이슨 정품배터리(좌측: 25.2V 2,300mAh) / 다이슨 호환배터리(우측: 25.2V 4,500mAh)

 

교환 후 나사 3개를 잠그면 된다.

사용 후 소감은????

매우 만족이다..... 마눌님도 청소기 흡입력이 아주 좋아졌고, 사용시간이 늘어서 대 만족이라고 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수명을 다한 [다이슨 정품 배터리팩]을 분해 한 후, 배터리 셀 7개를 교환하는 방법을 써보고자 한다. 가장 저렴한 방법이지만, 복잡한 방법이다.

놀고 있는 배터리팩(정품)을 예비로 놔둬도 뭐 좋으니까...........

 
 
반응형

딸아이 시계가 고장이 났다.

학교에서 갑자기 줄이 분리되었다는데, 시계줄을 연결해주는 부품(스프링바)가 없다.

가까운 시계방에 가서 수리를 해도 되겠지만, 직접하기로 했다. 이유는?

예전에 다소 저렴한 시계 줄을 조절하러 갔더니 메이커를 보더니 가격을 올려서 말했던 기억이 나서......

사실 표준가격이 없다보니, 운 좋으면 무료도 해주기도 하는데, 심한 경우는 1만원까지 받기도 하기에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내가 직접 부품사서 교치는게 나을듯 싶었다.

시계고장 / 시계줄이 분리된 사진

역시 이번에도 중국의 알리익스프레스(http://www.aliexpress.com)을 이용했다.

문제는 저 부품의 이름을 모른다는것.... 인터넷 몇번 검색을 하니 스프링바(Spring Bar)라는 것을

쉽게 알수 있었다.

아래 그림처럼 "watch spring bar"라고 검색하면 배송비 포함 $1.14에 살수 있다.

단점은 배송이 무척 느리다.

알리익스프레스 시계 부품(spring bar)

 

2021.7.16(금)에 주문했는데, 7.29(목)에 도착했다.

시계부품 스프링바(spring bar)

 

시계부품 스피링바(spring Bar)

딸 아이시계는 12mm 스프링바가 필요했다.

아래그림처럼 시계줄이 넣고, 손톱을 사용해서 시계에 꽂아주면 된다.

시계줄에 스프링바를 넣은 모습

 

시계줄에 스프링바를 넣은 모습

 

시계줄 수리완료(스프링바 교체)

 

스프링 바 1개만 있으면 됐었는데.... 이 많은 스프링바는 어떻하지????

반응형

 

#위성조난신호기 #조난 #위성 #삼영이엔씨 #삼영ENC

 

이번 건은 수리라고 하기에는 조금 창피하다. 간단하게 150원짜리 LED 램프 한개만 교체한거라서....

다만 굳이 이 글을 쓴 이유는....

분해 조립하는것이 조금 어려울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한참 해맸었기에 다른 분들은 이런 고생(?)을 안하시기를 바란다.

 

Search And Rescue Radar Transponder SART

사트는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사용하는 조난신호기이다.

바다에서 배가 침몰하거나 해서 바다에 뛰어들 경우 이 조난신호기를 켜면,

주위 지나가는 선박의 레이다(Radar) 또는 AIS 장비에 조난신호가 표시된다.

 

이번 모델은 삼영ENC사의 SAR-16모델로 조난신호를 AIS로 송신하는 장비이다.

 

보통 사트는 테스트모드와 실제 조난모드가 있는데, 테스트모드건 조난모드건

비프음(Beep)과 함께 LED 불빛이 켜져야 하는데, 소리는 나지만 불빛이 작동을 하지 않았다.

 

가까운 업체에 문의해보니 가격이~ ㅠ.ㅠ

 

일단 분해~

 

아래사진에 보면 고휘도 LED가 있는데, 이 부품을 테스트 해보니 불량이었다.

엘레파츠(http://www.eleparts.co.kr)에서 부품을 검색해보니 정확히 동일한 부품이 있었고,

백원대 밖에 안해서 여러개 주문해서 납땜질로 교체 완료.

삼영이엔씨 SART / 고휘도 LED 불량

 

 

 

아래는 SART의 메인보드 모습... 가격이 60만원이 넘는다는데.... 해상용은 아뭏든 비싸다... 뭐든지...

 

중요한건 SART의 분해 조립이다.

삼영ENC SART 메인보드

 

 

 

 

아래 사진처럼 메인보드를 사트 본체에 삽입한다. 방향이 있으니 참고~!

삼영ENC SART 메인보드를 본체에 삽입하는 장면

 

 

 

 

그리고 나서 아래 사진처럼 약간 불투명한 케이스를 메인보드 윗쪽을 끼운다. 역시 방향이 있으니 참고!!!

삼영ENC SART 조립 장면

 

 

 

 

아래 사진처럼 메인보드가 불투명 뚜껑의 좌측 우측 홈에 정확히 맞아야 한다.

삼영ENC SART 조립 화면

 

 

 

 

아래 사진은 작동케이스 조립장면... 작동케이스(분홍색)에는 자석(magnetic)이 내장되어 있어서,

저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SART가 테스트 모드, OFF모드, 조난모드로 작동을 하게 된다.

삼영ENC SART 마그네틱 스위치 조립

 

 

 

아래 사진처럼 스프링을 꽂고, 방향을 잘 맞춰서 마그네틱이 내장된 케이스를 조립한다.

삼영ENC 마그네틱 스위치 조립 장면

 

 

 

역시 아래 사진도 마그네틱이 내장된 케이스를 스프링과 함께 조립하는 장면

삼영ENC 마그네틱 스위치 조립 장면

 

 

 

그리고 난 후 아래 사진처럼 케이스를 또 조립하는데, 이 케이스는 나사형태로 되어 있어서 돌려주면 잠긴다.

처음에 분해할때 이부분을 몰라서 한참 해맸었다. 돌려서 잠그거나 풀수 있다.

삼영ENC SART 케이스 조립장면

 

 

 

아래 사진처럼 전원케이블을 연결한다.

삼영ENC SART 배터리 전원 연결

 

 

 

 

배터리 연결 후 시험(TEST)모드로 마그네틱 스위치를 돌리니까 LED가 잘 작동한다.

삼영ENC SART SAR-16 LED 작동화면

 

 

 

 

아래 사진은 OFF상태로 놓은 모습

삼영ENC SART 분해, 조립, 수리

 

 

 

 

 

반응형

국비 지원사업으로 태양광 3kw를 설치했고, 한국전력과의 상계작업까지 완료되었음에도

잉여발전량이 계측이 안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상계거래와 잉여발전량이라는 것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태양광이 2Kw를 발전하고 있는데, 에어컨 사용등으로 사용량이 1Kw를 사용중인경우

나머지 1Kw를 잉여발전량이라고 하고, 이 잉여발전전기는 한전쪽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이렇게 한전쪽으로 흘러가는양을 계량기로 계측을 해서, 매월 전기요금에서 정산을 해주는데 이것을 계통연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사진처럼 Advanced E-Type 전자식전력량계를 사용하는데,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Error"라고 뜨는게 보일겁니다.

이게 잉여발전량이 있음에도 계측이 안되고 있는 오류메시지입니다.

위 계량기의 경우 2가지 작동모드가 있는데요

S모드와 d모드입니다.

S : 수전→수전모드, 송·수전→송·수전모드

d : 수전 단방향모드

S모드는 잉여발전량 측정이 가능한 모드로서 계통연계시 S모드로 설정되어야 하고,

d모드는 태양광설치를 안한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 모드입니다.

결과적으로 태양광을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d모드로 되어 있었고

그러다 보니 잉여발전량이 전혀 기록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한전에 연락을 하면, 다음주에 방문하겠다는 식으로.... 정말 짜증이 많이 나더군요.

- 태양광설치 되고 나서 발전을 시작됐는데, 전기안전공사에서 점검하는데 시간 한참 걸리고,

- 한전에서 계량기 교체하는데 한참 걸리고,

- 계량기 교체 후 데이터값이 제대로 전송되지 않는 문제(원격검침불가) 문제로 한참 걸리고,

- 2층 계량기까지 동일모델로 교체해야 한다고 해서... 이거 교체하는데 한참 걸리고...

- 계량기를 모두 교체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뎀설정(?) 해야 한다며 또 한참 걸리고....

- 그렇게 모든작업을 했음에도 잉여발전량이 뜨지 않아서 해결을 못하고 있던중....

한전담당자는 코로나때문에 부재중~

- 결국 제가 계량기 메뉴얼 찾아가며 7.24(토) 계량기 모드를 바꿨더니 해결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이 해결된 화면..

7.25(일) 하루동안 잉여발전량이 7.719kWh 입니다.

거의 32일간 측정이 안되었으니, 32일 * 7.719kWh = 247Kwh가 측정이 안된거에요~

247kwh면... 32,310원입니다.

이건 요금이 낮은 구간일때 이야기죠.... 암튼....

가정집에서 사용한 전기는 정확히 측정을 해서 요금을 받는데,

잉여발전량에 대해서는 너무 소홀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구요

과연 다른 가정집도 이러고 있지는 않을까요? 잉여발전량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을까요?

무척 궁금해집니다.

반응형

#블루스크린 오류 #APC_INDEX_MISMATCH #win32kfull.sys #프린터 #오류

3월 11일 경에 업데이트 된 윈도우 업데이트 KB5000802가 설치되고 나면

그 이후부터 인쇄할때 블루스크린 오류가 뜨면서 컴퓨터가 재시작 된다.

=========================

중지 코드: APC_INDEX_MISMATCH

실패한 내용: win32kfull.sys

==========================

물론 재시작 후에도 인쇄를 하려고 하면 또 블루스크린 오류~~~~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현재 대응중에 있지만, 암튼 인쇄를 하려면 KB5000802 업데이트를

삭제해 주어야 한다.

삭제방법은

1. 제어판을 이용한 방법

제어판 ->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 업데이트 기록 보기 -> 업데이트 제거 ->

[Microsoft Windows(KB5000802)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 삭제

2.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

wusa.exe /uninstall /kb:5000802

반응형

초등학교 저학년인 막둥이가 바늘시계를 사달래서

카시오 시계를 샀다

어린이에게는 시계줄이 너무 길어서 조절을 하려고 했는데, 저렴한 시계라서 그런지 도통 어떻게 하는지 알수가 없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십자 드라이버로 시계줄 사이를 계속 돌리라는(후벼 파라는!) 말도 안되는 글들이.....

아무리 저가형 시계라지만 이건 아닌듯!

 

시계줄에 상처(기스)만 난다

그렇게 하는것이 아니고!!!

아래 사진처럼 조그만 일자드라이버를 준비해서

화살표 부분 오른쪽을 살살 올리면 연결컨넥터가 빠진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