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거리 6~7km는 장애물과 전파간섭이 없을때 상황이고, 실제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서는 어느정도 거리까지 전송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한번 해보았다.
DJI Transmission 하드케이스 및 내용물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좌측) / 수신기(우측)
오동도가 보이는 산등성이에 DJI Transmission 송신기를 설치했다. TV셋탑(YTN채널)의 HDMI케이블을 송신기에 HDMI입력단자에 꽂고,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전송을 시작한다.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에 HDMI영상 연결 후 송신 화면
아래 화면은 송신된 영상이 수신기에 나타난 모습. 송수신기 거리가 2m정도, 당연히 잘 나온다.
DJI 트랜스미션 송신기에서 전송된 화면이 수신기에 나타난 모습
송신기로부터 약 1.6km 떨어진 여수시 소노캄에서 영상을 수신한 모습
아무래도 건물들이 많은데다, 주위 무선장비들이 많이 있다보니 전송속도가 3Mbps까지 떨어지만,
주파수 채널별 수신강도는 괜찮았다.
시내권에서 DJI Transmission 전송거리 약 1.6km 거리에서도 원활했다.
여수시 오동도 근처 소노캄 앞에서 수신강도 화면
소노캄 앞에서 수신된 영상... 안테나가 3칸정도 나타나고, 전송속도는 3.2Mbps
소노캄(구 엠블호텔)에서 DJI Transmission 영상 수신 화면
수신기를 높이 들면 속도가 잘 나오고, 높이가 낮아지면 아래 사진처럼 안테나 3칸, 전송속도는 1.4Mbps로 떨어진다. 화면이 조금 끊기기도 했다.
소노캄(구 엠블호텔)에서 수신 화면 (안테나 채널별 수신강도 모습)
이 장비를 바다에서 사용할 예정인데, 장애물이 없는 바다에서는 아무래도 6~7km 정도의 전송거리가 나올듯 싶다. 바다에서 다시 한번 테스트할 예정이고, 특히 DJI Transmission 장비를 2대를 연결해서 12~14km까지 전송이 가능한지도 테스트해 볼 예정이다.
아! 참고사항..... 송신기에는 HDMI 입력포트가 있고, 수신기(모니터)에도 HDMI 입력포트만 있다.
무슨 말이냐면... 송신기는 HDMI영상을 입력받아 무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영상을 모니터에 나타내지만, 수신된 영상을 HDMI로 출력할수는 없다!
(수신된 영상을 HDMI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 옵션카드(50만원 상당)를 추가장착해야한다.)
그럼 수신기에 HDMI포트는 무슨용도???? 말그대로 수신기가 모니터 역할을 하다보니, 이역시도 HDMI 케이블을 꽂아서 영상을 보여주는 목적이다. 즉 HDMI입력포트이다.
중국 TouYinger社 H5 프로젝터의 펌웨어를 잘못 업그레이드 해서 벽돌(작동안하는) 문제에 대한 문의가 있었다. 저가의 프로젝터 이지만, 펌웨어를 업그레이드를 하면 성능이 좋아진다는 블로그 글을 보고 시도를 했다가, 낭패를 본 경우인데......펌웨어가 제대로 업그레이드 되지 않으면, 프로젝터 전원을 켰을때 팬(FAN) 소음은 나지만, 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며, 렌즈 안을 들여다보면 "밤하늘의 별들"의 모습만 나타나고 더이상 그 어떤 작동도 하지 않게 된다.
반응형
★ 해당 프로젝터의 펌웨어를 수동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으나 그중의 한가지 방법을 소개하는 것으로, 본 게시물의 방법대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포기하지 마시고, 문의를 주시기 바랍니다.
TouYinger社 H5 LED 프로젝터
해결 방법은 첨부파일의 펌웨어를 다시 입력해주면 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USB 메모리를 준비한다. (USB메모리는 FAT32형태여야 한다.) ※ FAT32 형태라는 말은 USB메모리를 포맷할 때 파일시스템으로 FAT32를 설정 후 포맷한다.
2. 아래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후 USB메모리에 복사한다. ※ V509YZ.bin 파일이 USB메모리의 루트폴더에 존재해야 한다.
3. 프로젝터의 전원 케이블을 분리한다.
4. USB메모리를 프로젝터에 꽂는다. (USB포트 위치는 상관없다.)
5. 전원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케이블을 연결한다.
6. 전원버튼 위에 위치한 빨간색 LED표시등이 깜박거리면, 파워버튼에서 손을 뗀다. ※ LED표시등이 깜박거리는 것은 Y509YZ.bin 펌웨어로 다시 업로드 되고 있다는 표시이다.